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OSI 모델과 TCP/IP 모델 1. OSI 모델 예전에는 컴퓨터끼리의 통신은 같은 회사제품이어야만 가능했다.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위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이 정해졌다. 이 표준 규격(프로토콜)은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 표준화 기구) 에서 제정했는데, 이 때 정해진 표준 규격이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이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이다.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데이터의 송수신) 컴퓨터 내부에서는 여러 일들을 하는데, 이런 일을 일곱 개의 계층에서 나눠서 한다. 통신 시, 데이터는 가장 위 응용 계층에서 순차적으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된다. ( 각.. 2024. 5. 14.
네트워크에서의 규칙, 프로토콜(protocol) 1. 프로토콜 평소에도 생활함에 있어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듯이, 네트워크에서도 문제가 없이 통신하려면 규칙 (일종의 약속)이 있어야 하고 이를 서로 간 지키야 한다 일상생활 속의 예로 한국인과 독일인이 대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한국인은 독일어를 모르고 독일인은 한국어를 모르니 서로 소통이 불가능하다. 서로의 소통이 가능해지기 위해서 '서로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한다'라는 규칙을 정해 여기선 예로, 서로 영어로 대화하면 되는 것이다. 이런 규칙을 '프로토콜 (Protocol)'이라 한다. 이렇듯, 컴퓨터끼리도 정보를 주고받을 시, 사용할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 필요하는 데 이를 프로토콜이라 한다. 다음은 국어사전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의 의미다.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한 .. 2024. 5. 10.
가정과 회사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1.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집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랜(LAN)이다.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먼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인 통신회사( sk, u+,... 등) 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하고 계약해야 한다. 이외에 필요한 장비가 하나 더 있는데 인터넷 공유기 (영어로  Broadband router)다. 인터넷 공유기는 일종의 가정용으로 만든 라우터 같은 건데 작은 기업이나 가정 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쓰이는 장비다. 그림을 보자. 인터넷 공유기를 중심으로 인터넷망이 구성되어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할 수가 있다. 그림에 보면 1층 컴퓨터는 유선으로 연결이 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게임기나 프린터, 등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연결 방식은 크게 무선과 유선으로 나뉜다. 1층의 .. 2024. 5. 10.
랜(LAN)과 왠(WAN) 1. 랜 LAN 과 왠 WAN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먼저, 랜( LAN )은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의 약자로 말 그대로 가까운 거리의 범위를 가진 또는 어떤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가진 네트워크다. 예) 사무실이나 가정과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 Tv, 노트북, 프린터 등을 연결  반대로 왠 ( WAN )은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의 약자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다. 랜을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로 보면 되며, 국가, 도시, 대륙처럼 매우 넓은 범위를 연결한다.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해 구축된 네트워크다.) 범위가 넓은.. 2024. 5. 9.
비트(bit)와 바이트(byte) 1. 비트와 바이트 컴퓨터는 전자 스위치로 구성된 전기 장치이며, 이 스위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켜거나 끌 수 있다.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것이다.각각의 스위치는 '켜진 상태(On)'과 '꺼진 상태(Off')를 나타내는데, 이 각각의 상태를 각각 1과 0으로 표현한다. 즉, 컴퓨터는 두 가지의 (2진수의 0과 1)형태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런 0과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 (Digital Data) 라고 한다.) 이 1과 0을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인 '비트'라고 부르며, 비트는 전기 충전도, 광 펄스, 전파 신호의 유무로써 표현되기도 한다.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8개 단위의 비트(8bit)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처리하는데 이를 바이트(Byte)라 한다.. 2024. 5. 9.
Google Colab에 이미지 업로드하는 법 1. 먼저, 구글 드라이브에 Colab에 올릴 사진을 업로드 한다. 2. 아래 방법대로 링크 복사를 눌러준다. 다른 사람에게도 이미지가 보이게 하고 싶을 경우, 링크 복사 대신 공유를 눌러 일반 엑세스를 '제한됨'이 아니라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로 바꾼 후에 링크를 복사한다. 3. Colab에서 텍스트 셀을 생성해 복사한 링크를 아래 양식으로 변경해준다. ⇓ 위처럼 링크의 마지막 부분에 /view? 로 시작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앞에 file/d/을 uc?id= 로 바꿔준다. 이미지가 공유되게 한 링크를 복사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4. 이미지 삽입을 위한 HTML 작성 width와 height을 이용해 이미지에 맞게 이미지의 크기를 정해준다. 5. 결과 2023. 8. 24.